제목: 김 경석 교수가 가르치는 모든 과목에 관련된 방침 (2017.03.07.화.에 마지막으로 고쳤음)



  1. 숙제/시험 부정 행위에 관한 방침 (2017.09.04. 일에 마지막으로 고쳤음)

    1. 시험치러 올 때 가져와야 될 증명서: 학생증, 주민 등록증, 운전 면허증, 여권등 사진이 있는 증명서 하나
      (만일, 이 증명서 가운데 하나도 없으면, 시험 전에 미리 담당 교수에게 연락하여 허가를 받을 것)

    2. 시험칠 때, 보기를 들어, 다른 사람의 답안지를 본 경우는 당해 과목 F, 대리 시험을 친 경우 두 사람 모두 전 과목 F 등, 학교 규정에 따라 심한 벌을 받게 되므로 부정 행위를 하지 말 것.

    3. 어떤 학생의 숙제 (프로그램 숙제 및 일반 숙제)가 다른 학생의 것과 아주 비슷하면, 보여준 학생과 베낀 학생 모두 성적에 심한 불이익을 받게 되므로 부정 행위를 하지 말 것

      • 숙제를 보여주지는/보지는 않으면서, 어려운 점에 대하여 토의하는 것까지는 좋음 -- 허용 한도는 딱 여기까지임.
      • 그러나 숙제 자체는 반드시 남의 것을 보지 말고 "각자" 해야 함 (다른 사람이 숙제를 대신 해 주는 것도 물론 안 됨).
      • 숙제 자체롤 보여주거나/보거나 전자 우편 (e-mail)으로 보내주거나/받거나 하는 것등은 안 됩니다.
      • 보거나/베껴서 낸 사람뿐만 아니라, 보여준 사람도 심한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 초중고에서는 무사히 넘어갔을 수 있는 사항이라도, 이 과목에서는 학교 규정과 위의 기준에 따라서 심한 불이익을 받게되므로 부정 행위를 하지 말기 바랍니다.
      • 참고로, 이 문제 때문에 과거에 수강생의 약 1/4 이 F 를 받고, 약 1/4 이 D 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4. [중요] 각 숙제 등의 맨 처음에 반드시 넣어야 할 내용:

    5. 졸업 예정자는 부정 행위 때문에 F (또는 낮은) 등급을 받아 졸업에 어려움이 생기지 않도록 특별히 조심하기 바랍니다.

    6. 관련 규정: 업무 규정, 제 2 편 학사 행정, 제 4 장 학생 행정
      부산대학교 시험 질서 확립을 위한 규정 (일부)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부산대학교에서 실시하는 정기시험, 그 밖의 학습의 평가를 
      함에 있어 시험의 질서를 유지하고 건전한 시험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부정행위 
      처리방법을 정함에 있다.
      
      제2조(부정행위보고) ① 시험부정행위자를 적발한 감독관은 즉시 그 학생을 
      퇴장시키고 「별지 서식」에 따른 부정행위보고서를 감독관 소속 대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대학(원)장은 부정행위자가 교내 타 대학 학생일 경우 소속 대학(원)장에게 
        즉시 통보하여야 한다.
        ③ 타 대학(교) 학생이 부정행위자로 적발되면 해당 학생의 소속 대학(교) 
        총(학)장에게 통보한다. 
      
      제3조(처벌과 징계) ① 시험부정행위자가 보고되면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1. 해당 과목성적 F 처리
      	 가. 감독관의 지시에 불응한 자
      	 나. 교과서, 노트 등 시험과 관계되는 자료를 보거나 보려고 한 자
      	 다. 다른 학생의 답안지를 본 자
      	 라. 그 밖에 감독관이 부정행위가 있다고 인정한 자  
       2. 전과목 F 처리
      	 가. 사전에 준비한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부정행위를 한 자와 자료를 제공한 자
      	 나. 제1호의 부정행위를 반복한 자
      	 다. 그 밖에 감독관이 심한 부정행위가 있다고 인정한 자 
      	 라. 대리시험 행위를 한 자와 대리시험 행위를 청탁한 자
       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부정행위자에 대하여는 징계를 병과(倂科)할 수 있다.
       ③ 대학(원)장은 제1항 각 호에 따라 조치된 자를 공고하고 이 사실을 
       교무처와 학생지원처에 통보한다.
      
      제4조(처벌절차) ① 제3조제1항 각 호에 따른 해당 과목 성적 F 해당자에 대한 
       부정행위보고서는 부학(원)장의 확인에 따라 대학(원)장이 조치한다.
       ② 총장은 부정행위 학생을 제3조제1항에 따라 처벌할 경우 해당 대학(원) 
       교수회의나 학생징계위원회 및 교무회의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부산대학교 시험 질서 확립을 위한 규정 (2008.10.09. 전문)



  2. 전자 우편으로 숙제를 낼 때 조심할 점 (마지막으로 고친 때: 2011.03.02 (수))
    
    1) 되도록, 하나의 숙제에 대해 한 번만 내도록 하기 바랍니다
      (특히 전자 우편으로 숙제를 낼 때).
    
      1-가) 만일 먼저 낸 것을 취소하고 꼭 다시 내고 싶다면, 
         "조교에게 연락하여 허락을 받은 뒤에" 내기 바랍니다.
    
      1-나) 만일 조교의 허락을 받지 않고, 
         하나의 숙제에 대해 여러 번 내면 감점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마감 기한 + 24 시간 지난 뒤에 "또" 낸 때에는, 0 점 처리될 수도 있습니다).
    
    2) 전자 우편으로 숙제를 낼 때, 
      - 나중에 혹시라도 문제가 되면 자기가 전자 우편으로 숙제를 보냈다는 사실, 
        보낸 날짜, 숙제를 붙임 파일에 제대로 붙였다는 사실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 전자 우편 환경 설정 같은 데에서 "보낸 편지 보관", "수신 확인" 등을 선택함으로써,
      - 붙임 파일을 포함하여 보낸 편지 자체와 보낸 사실에 대한 기록이 남는지 확인하고,
      - 또한 붙임 파일을 포함하여 전자 우편을 잘 보관해 두기 바랍니다.
    
    3) [중요] 전자 우편으로 숙제를 낼 때에, 숙제 자체를 붙임에 붙였는지 반드시 잘 확인하기 바랍니다.
    
    
  3. 재이수 관련 사항 -- (2012.12.30.에 마지막으로 고쳤음)
    1) 2011-1 학기부터 C+ 이하(C+ 포함하여)인 과목을 재이수할 수 있음.
      - 2011-1 학기부터 그 전 또는 앞으로 듣는 과목 가운데,
        C+ 이하(C+ 포함하여)를 받은 과목을 재이수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0-2 학기까지는 C0 이하를 받은 과목을 재이수 할 수 있었는데,
         ... 그래서 C+ 과목은 재이수할 수 없었습니다 ^ - ^ ... 
         2011-1 학기부터는 C+를 받은 과목도 재이수 할 수 있게 되었음.)
      - 재이수할 때의 성적은 B+ 이하입니다.
    
    2) 관련 조항: 부산대학교 학칙 부산대학교 학칙 (2012.12.04., 전문)
    
    제60조(재이수) ① 교과목 성적 등급이 C+ 이하(대학원도 동일)인 경우에는 
     재이수할 수 있으며, 재이수하여 취득한 성적을 해당 교과목의 성적으로 한다.
    ② 학사과정 재이수 교과목의 성적은 B? 이하로 하되, 
     실용영어·실용컴퓨터·기초영어 및 컴퓨터활용과목은 예외로 한다.
    
  4. 졸업 예정자 등의 학점에 관한 방침 (마지막으로 고친 때: 2015.07.13.월)
        이번 또는 다음 학기를 마지막으로 졸업할 예정인 학생, 또는
    학사 경고 및 이에 따라 제적이 될 수 있는 학생의 학점에 관한 본인의 방침을 
    미리 밝혀 두니, 이 과목을 듣는 학생 (특히 졸업 예정자) 은 다음 사항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 전에 보면 가끔 어떤 학생은, 성적이 형편없어 F 를 받을 수 밖에 
    없는데도, 이번이 마지막 학기이며 이 과목의 학점을 따지 못하면 졸업이 안 
    된다, 취직할 수 없다, 학사 경고 받는다, 또는 제적된다는 등의 이유를 대면서, 
    교수에게 거의 협박(?)조로 학점을 달라고 하는 수가 있었습니다.  
        본인이 가르치는 모든 과목에서 이와 같은 상황에서의 본인 방침을 
    다음과 같이 밝혀 두니, 착오가 없기를 바랍니다.
    
      1. (권고) 필수 과목은 되도록이면 마지막 학기 전에 다 따 두든지, 어쩔 수 
    없이 마지막 학기에 들을 때는 아주 열심히 하여 F 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기 
    바랍니다.
    
      2. (권고) 선택 과목의 경우에는, 졸업에 필요한 학점수보다 한두 과목쯤 
    여분이 있게 수강하여, 마지막 학기에 한두 과목에서 F 가 나더라도 졸업에는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3. (방침) F 학점을 받을 정도로 성적이 형편없는 경우에, 4 학년, 졸업, 
    취직, 학사 경고, 제적 등의 이유 때문에 F 아닌 학점을 주지는 않습니다.  
    다시 말해서, 모든 학생은 꼭 같은 기준 (잣대) 에 따라서 학점을 받게 됩니다. 
    
      - 성적이 나쁜데도 4 학년, 졸업, 취직, 학사 경고, 제적 등 이런 저런 사정 때문에 
        교수가 학점을 좋게 주는 것은, 교수가 저지를 수 있는 큰 "부정" 가운데 하나라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학생이 교수에게 "부정"을 저지르라고 부탁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4. (권고) 만일 학생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학점 받기에 어려움이 예상되면,
    "학기 초에" 담당 교수에게 찾아와서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받기 바랍니다. 
    보기를 들어, 건강 문제가 있을 때, 비전공자인데 이 과목이 필수로 된 때 등
    특수한 상황이라면, 그에 맞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5. (권고) 졸업 예정자는 부정 행위 때문에 F (또는 낮은) 등급을 받아
    졸업에 어려움이 생기지 않도록 특별히 조심하기 바랍니다.
    
        위의 사항을 잘 이해하여, 앞으로 이 과목의 학점 때문에 졸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협조하여 주기 바랍니다.
    

  5. 총점과 성적 등급의 관계에서 예외적인 경우 (마지막으로 고친 때: 2014.07.01.화)
      - 보통은 총점에 따라서 성적 등급(A+, A0, ..., D0, F)을 줍니다.
      -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는 총점에 대응하는 성적 등급보다 낮은 (또는 높은) 성적 등급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보기를 들면, 
        가) 시험 성적은 그런대로 나왔지만, 숙제를 거의 하지 않았다; 
        나) 숙제 성적은 그런대로 나왔지만, 중간/기말 시험 성적이 너무 낮다; -- 등 입니다.
    
     56 aaaa       9   5  15  15  15  18  12  22  54.2 C0
     57 bbbb      13   4  12  14  15   0  28  34  53.9 C0
     58 xxxxxxxx   3   5  15  15  15  16  32   7  52.7 F (예외 처리), 기말 성적 너무 나쁨
     59 cccc      10   3  15  15  14   0  48  13  50.9 D+
     60 ddddd      8   5  15  15  14  11  24  15  50.7 D+
     61 ddddd     12   3  15  13  14  10  30  13  49.0 D+
     62 yyyyyy     9   4  15  15  15  14  23   8  48.4 F (예외 처리), 기말 성적 너무 나쁨
     63 eeeee     12   5  15   9  15   0  20  28  47.7 D0
     64 ffff       9   4  12  15  15   9  27  10  46.9 D0
     65 gggg      11   1  15  15  14  12  21  13  45.5 D0
     66 hhhh       4   3  15  15  15  17   7  14  45.3 D0
     67 iiiii     18   2  15  15   0  13  39  13  45.3 D0
     68 jjjjjj     6   1  15  15  15  16  26   0  43.4 F
     69 kkkkk      6   5  15  13  15  16   4  10  43.0 F
    ......................
    +---------------------------------------------------+
       CNT(all)   93  93  93  93  93  93  93  93    93
       CNT(!=0)   89  93  89  91  85  75  92  87    93
    
                  qz att sj1 sj2 sj3 sj4 mid fin Total
       Full       18   5  15  15  15  18  66  72 100.0
       AVG(all)   10   4  13  13  12  12  36  29  60.8
       AVG(!=0)   10   4  14  13  14  15  36  31  60.8
       Weight(%)   2   5   6   7  10  10  25  35   100
    +---------------------------------------------------+
    
    맨 위로